차량 데이터 레이크와 엣지 AI 분석 아키텍처
현대 자동차는 수많은 센서, ECU,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텔레매틱스 장치 등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레이크(Data Lake)는 주행 중 발생하는 센서 로그, 카메라 영상, 라이다 포인트클라우드, GPS 정보, 차량 진단 정보, OTA 업데이트 이력, 운전자 행동 데이터, 정비 이력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는 중앙 저장소 역할을 한다. 엣지 AI(Edge AI)는 차량 내부에 탑재된 엣지 컴퓨팅 장치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처리하고 예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레이턴시를 최소화하며, 중앙 서버의 부하를 줄여준다. 엣지 노드는 차량 안전 경고, 운전자 상태 모니터링, 고장 예측, 실시간 경로 최적화 등의 기능을 로컬..
2025. 6. 7.
자율주행 센서 융합과 딥러닝 기반 데이터 처리
자율주행차는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초음파 센서 등 여러 종류의 센서를 활용해 주변 환경을 인식한다. 각각 센서는 강점과 한계가 있어, 하나의 센서만으로는 날씨 변화나 빛 반사, 복잡한 교통 상황을 완벽히 파악하기 어렵다. 센서 융합(Sensor Fusion)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 데이터를 결합해 단일 센서로 얻을 수 없는 정확한 정보를 만들어내는 기술로, 자율주행 시스템의 핵심 기술이다. 최근에는 융합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차량은 실시간으로 보행자, 주행 차선, 전방 장애물, 교통 표지판 등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자율주행용 센서 융합의 개념을 쉽게 설명하고, 카메라 영상과 3D 포인트 클라우드(라이다), 레이더..
2025. 6. 6.
자동차 전장 EMC·EMI 대응 설계 기술 완전 가이드
현대 자동차 내부는 전자제어장치(ECU), 센서, 액추에이터, 통신 네트워크 등 수십 가지 전자부품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전자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이 고속으로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전자기파 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은 차량의 안전성과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외부 전자기파(라디오, TV, 휴대폰 기지국 등)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 간섭(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자동차 전장 설계 시 EMI 소스를 최소화하고, 외부 간섭으로부터 전자부품을 보호하는 대응 기술이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전장 EMC·EMI 대응 설계의 기본 원리와 주요 요소(케이블 차폐, PCB 레이아웃, 필터 및 클..
2025. 6. 6.
차량 기능 안전성 확보 절차
자동차는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조화롭게 동작해야 한다. ISO 26262는 차량용 전자시스템의 기능 안전(Functional Safety)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설계부터 생산, 서비스 단계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쳐 위험을 식별하고 제어하는 절차를 제시한다. 이 글에서는 ISO 26262의 기본 개념과 용어,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분류 방법, 그리고 각 개발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활동(개념 개발, 시스템 개발, 하드웨어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통합 및 검증, 생산·운영 관리)에 대해 상세히 다룬다. 특히 위험 분석 및 위험 평가(HARA, Hazard Analysis an..
2025.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