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전장 네트워크 발전과 미래 방향
차량 전장 네트워크는 내연기관 차량의 단순 신호 전달용 CAN, LIN 중심 구조에서 출발해 현재는 자율주행, 전동화, V2X 통신 등을 지원하는 초고속, 고신뢰성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다. 초기 차량 네트워크는 소수의 ECU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단일 CAN 버스 형태로 단순했으나, 센서 수 증가와 기능 복잡화에 따라 멀티 도메인 네트워크, 이더넷 기반 고속 데이터 전송, TSN 기반 실시간 통신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차량용 이더넷은 100BASE-T1, 1000BASE-T1 규격을 중심으로 백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자율주행 센서 데이터, 카메라 영상, OTA 업데이트, 사이버 보안 기능을 통합 관리하는 기반이 된다. LIN, CAN FD, FlexRay 등은 여전히 특정 도메인에서 보조 네트워크..
2025. 6. 28.
전기차 인버터 설계와 제어 기술
전기차 인버터는 배터리의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해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핵심 전력전자 장치다. 인버터 설계는 전력변환 효율, 스위칭 속도, 열관리, 전자기파 간섭 억제, 내구성, 안전성 등을 고려해 최적화된다. 고출력, 고전압에 대응하기 위해 SiC(Silicon Carbide), GaN(Gallium Nitride) 기반 전력 반도체가 적용되며, 이로써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소형화와 경량화를 달성한다. 제어 기술 측면에서는 벡터 제어, 직접토크제어(DTC), 펄스폭변조(PWM) 알고리즘이 주요 방식으로 사용되며, 주행 상황과 모터 특성에 따라 최적의 출력과 효율을 유지한다. 인버터는 또한 통합 열관리, EMC/EMI 대응 설계, 기능안전(ISO 26262) 및 사이버 보안(ISO 21434..
2025. 6. 28.